Q 늘 브로콜리에 대한 찬사를 보내는데, 브로콜리를 못 먹는 사람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알맞은 다른 식품은 없을까요?
A사실 훨씬 더 좋은 식품이 있다.
연구원진들은 예기치 못했던 큰 발견을 했다. 바로 3일 정도 재배한 브로콜리 싹에는 똑같은 양의 성숙한 브로콜리에 들어있는 것보다 100배나 많은 항암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다.(브로콜리에 들어있는 이 소치오시아네이트)라는 성분이 동물에서(아마 사람에서도) 유방암이나 그 외의 다른 암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이 브로콜리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또한, 브로콜리 애호가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여러분은 브로콜리 싹을 1/4컵만 먹어도 다진 브로콜리를 6컵 반 먹는 효과를 얻을 있다. 맛은 어떤가? 브로콜리와는 전혀 다른 맛이다.
샐러드나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무맛과 비슷하다. 이런 발견이 있은 후 전국슈퍼마켓에서 브로콜리 싹이 판매되고 있다.(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브로콜리 싹을 구입하기 쉽지 않다. 그보다는 재배하는 방법이 한결 수월하다. 밭에 심은 브로콜리 종자에는 살충제가 뿌려져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직접 재배하여 먹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편집주)
그렇다면 성숙한 브로콜리는 아직도 먹을만한 가치가 있는가? 물론이다. 다 자란 브로콜리는 섬유소 염산, 베타칼로린 비타민C등의 영양소가 싹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이 함유되어 있다.
브로콜리 조리힌트
일단, 전자레인지로 조리하든, 물에 찌든 간에 되도록 소량의 물을 쓰는 것이 그 비결이다. 항암효과가 있는 이 소치오시아네이트는 수용성이기 때문에, 물로 조리한 뒤 그 물을 요리에 이용하지 않으면 이 성분들이 빠져나가 버리기 때문이다. 그런데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삶은 물을 이용하고 있는지‥‥
심장마비 발생 억제하는 토마토
빨간 토마토에 엄청난 힘이 숨어 있다. 토마토의 효과에 대해서는 토마토로 된 제품을 많이 먹는 사람일수록 전립선암이나 직장암에 걸릴 위험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이미 나와 있다. 그런데 이제 토마토가 심장마비에 효과가 있다는 소식을 접하게 되었다. 조직 중 라이코펜(토마토에 들어있는 유용한 분) 농도가 높은 남성들의 경우 라이코펜 농도가 낮은 남성들에 비해 심장마비를 당할 위험이 절반 정도밖에 안 된다는 연구가 유럽에 있다. 더 많은 라이코펜을 섭취하려면, 다음에 소개된 음식들을 많이 먹으면 된다.
식품 라이코펜 함량(mg)
1/2건 토마토소스 ‥‥22
3/4컵 토마토주스 ‥‥20
2 큰 스푼 토마토페이스트‥‥18
3/4컵 야채 주스 칵테일‥‥18
1/4컵 토마토퓌레‥‥10
1/2컵 생 토마토 다진 것‥‥8
1컵 수박조각‥‥7
2 큰 스푼 케첩‥‥5
1개 구아버‥‥5
1/2개 자몽‥‥4
치매를 예방하는 식품들
간식용으로 오렌지를 살 때마다. 여러분의 머리를 위한 뇌보험으로 생각하고 통밀빵이나 당근을 같이 사서 먹도록 한다. 65세에서 90세를 대상으로 두 가지 정신능력 테스트를 실시했다. 그런데 완벽하거나 만족할만한 점수를 얻은 사람들은 식습관이 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은 야채 ·과일 ·섬유소 비타민 C ·엽산 베타카로틴 · 아연 같은 영양소를 많이 섭취하고, 포화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은 덜 섭취했다.
건강에 좋은 피자
30cm 피자를 만드는데 1컵 정도의 토마토소스가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피자를 여섯 조각냈을 때, 한 조각에 소스가 3 큰 스푼도 안 들 어가는 셈이 된다. 그렇다면 소스를 두배로 친 피자를 주문해서 건강에 유익한 라이코펜을 두배로 섭취하는 것은 어떨까? 나는 요즘 이런 피자를 주문해 먹는데, 훨씬 더 촉촉해서 좋다 (만약, 지방을 많이 섭취하면 안 되는 경우에는 치즈는 조금 얹고 야채는 많이 얹어 달라고 주문하도록 한다. )
Copyright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활용 학습 금지
'먹걸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삼,이럴땐 이렇게 (1) | 2025.02.26 |
---|---|
카레볶음밥,생선전 치즈구이,나물장떡,두부전 쌈장,잡채 유부주머니 (0) | 2025.02.12 |
빈대떡 VS PIZZA (0) | 2025.01.20 |
올바른 식생활, 그 모든 것 (0) | 2025.01.15 |
한과 VS 양과 (0) | 2024.11.12 |